K콘텐츠? 이제는 K라면! 삼양식품 농심 수출 증가는 주가 상승으로
불닭뽁음면 인기가 식을 줄 모르더니 이제 라면 수출이 고공행진을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라면 수출금액이 역대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갱신하였습니다. 국뽕이라는 이름으로 모든 단어에 K를 붙이는 경향이 있지만 사상 최대 실적 기록에는 K를 붙일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K콘텐츠? 이제는 K라면!
K콘텐츠 확산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먹거리 특히 k콘텐츠 등장하는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콘텐츠에서 마케팅 가능 상품이 등장하면 그 장면을 스토리화하여 시장을 만들려는 노력이 결실을 보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업체들의 현지 개척 노력에는 단순 소개만 하는 것이 아니라 현지에 맞춤형 상품을 출시하여 매출 극대화를 꽤 한 것이 큰 성과를 이뤘습니다. 현재까지의 성과는 시작에 불과하다고 봅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라면 인기를 날로 증가하는 양상입니다.
1분기 라면수출 사상 최대
4월 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관세청 등에 따르면 3월까지 라면 수출액은 2억 800만 달러(한환 2,700억)로 잠정 집계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기존 최대치였던 작년 1분기 수출액(1억 8000만 달러) 대비 14% 증가한 수치입니다.
라면 수출액은 201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5년 5000억 달러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5배 성장하였습니다. 또 2억 달러 돌파도 올 해가 처음입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 K콘텐츠에 의존한 것도 아니지만 K콘텐츠 없이는 불가능했을 성장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K콘텐츠 열풍 속에 한국 라면의 인기가 고공행진을 달리는 이유는 유튜브, 넷플릭스 등과 같은 OTT에서 우리나라 영화, 드라마 등이 주목을 받으면서 라면 인기도 급상승 중입니다.
넷플릭스에서 '길복순'이 전 세계 영화 순위 4위, '더 글로리' 역시 TV부문 6위 그리고 21년 전 세계를 강타한 '오징어 게임'에서 라면이 등장하였습니다. '시생충'에 등장한 짜빠구리 등 라면이 드라마 전개에서 다양한 소재로 활용되었던 것입니다.
라면이 등장하는 장면으로 호기심에 의한 한 때 유행은 가능해도 매년 산업의 성장을 이끌지는 못했을 내용입니다.
단순 에피소드로 끝날 수 있는 장면을 식품 기업들의 적극적인 회외 공략으로 트렌드를 만든 것입니다.
단순히 K콘텐츠에 기대거나 원조의 힘만 믿었다면 이런 성장을 이루지는 못했을텐데 식품 기업들이 현지화 전략으로 매운맛을 고집하지 않고 현지 입맛에 맞는 맞춤형 상품을 선보이면서 돌풍을 이어갈 수 있었습니다.
삼양식품과 농심의 전략
삼양식품은 매운맛 '불닭볶음면'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지만 매운맛만 고집하지 않고 국가별 맞춤형 제품을 내놓으면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미주지역에서는 인기 핫소스인 ‘하바네로’를 접목한 ‘하바네로라임불닭볶음면’을, 올해 1월에는 일본 대표 음식인 야키소바에 불닭의 매운맛을 적용한 ‘야키소바불닭볶음면’을 출시했습니다.
K라면 인기로 삼양식품은 중국, 미국, 일본 3개국에 해외법인을 두고 있으며 해외법인 추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농심 역시 미국 서부에 공장이 2곳이나 있지만 동부지역에 추가 건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삼양식품와 농심 관계자는 “K콘텐츠가 인기를 끌면서 K푸드의 한 축인 라면의 인기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라면은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으면서도 맛있는데 다른 문화권의 새로운 맛을 즐기고자 하는 세계 젊은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면서 “각 나라 입맛을 재해석한 상품이 등장하면서 해외 시장에서의 라면 소비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삼양식품 기업개요
- - 동사는 1961년 유지공업과 식품도매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으며, 면류, 스낵류, 유제품, 조미소재류 등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음.
- - 국내 최초의 원조라면 삼양라면을 포함한 불닭볶음면, 볶음짜짜로니, 간짬뽕, 나가사끼짬뽕, 쇠고기면, 맛있는 라면, 짱구, 사또밥 등 다양한 식품을 생산 판매함.
- - 웰빙트렌드에 맞춰 소비자 건강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우수한 품질의 신제품을 개발함.
농심 기업개요
- - 동사는 면류, 스낵, 음료 등의 판매를 주사업으로 하며 브랜드 파워, 연구개발 역량, 생산 및 품질, 경영능력 면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 -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에 주요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농심 아메리카', '상하이 농심푸드' 등 15개의 주요 종속회사들과 시너지 효과를 냄.
- - 백산수를 먹는샘물 분야의 독보적 브랜드로 육성 중이며, 국내외 수요 확대에 대비하여 생산능력을 대규모로 확충.
자산 관리 참고 사이트 :
월급 받는 농부 : Salary Farmer No. 1
농자, 천하지대본(農者 天下之大本) 예로부터 농업은 국가 존립의 근본이라 하여 중히 여겼습니다. 하지만 근대화, 공업화 되면서 농업을 중히 여기는 정책은 없었습니다. 시혜적 정책은 있어도
salaryfarmer.com
출처 : 월급 받는 농부
'증권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창정 주가조작 피해, 삼천리 대성홀딩스 서울가스 선광 등 (0) | 2023.04.27 |
---|---|
중국 입국 비자 발급 중국 VIP 온다 롯데관광개발 (1) | 2023.04.18 |
K-pop 관련 최대 수혜주 디어유 주가전망 (0) | 2023.04.11 |
2차전지 리튬 대장주 등극 지엔원에너지 (0) | 2023.04.04 |
시간외 상한가 및 특징주 - 관리종목 해제 종목 관심 (0) | 2023.03.23 |
댓글